top of page
황반변성은 눈 안쪽 망막 중심부에 위치한 황반부에 변화가 생겨 시력장애가 생기는 질환입니다.
황반은 작지만 민감한 부위로 사물의 중심을 볼 수 있게 하고 사물을 인식해 색을 구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황반이 변성되는 대표적인 원인은 노화로 나이가 증가할수록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노화에 의한 황반부 변성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사람에게서 유전적 원인인 가족력, 흡연 습관, 그리고 빛에 의한 손상들로 예상되는 노화가 불러온
손상들에 더해져 황반부에 변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D A S I B O M E Y E C L I N I C
황반변성이란?
황반변성의 종류
건성 황반변성
망막층의 위축과 변성 등의 변화가 발생합니다.
시력 손상의 정도는 다양하나 경미하고,
대부분 심각한 중심 시력 소실은 없습니다.
습성 황반변성
신생혈관에서 나온 장액과 혈액이 황반을 침범하면서
시력이 감소됩니다. 오랜 부종 및 장액 침범으로 인한
망막측의 박리 및 출혈에 의한 손상으로 영구적 중심 시력이
소실될 수 있습니다.
황반변성의 증상
초기에는 스스로 뚜렷한 이상을 찾기 어려우나 컨디션이 좋지 못한 날에는 시력이 떨어지고 컨디션이 좋으면 시력이 다시 회복됩니다.
조금 진행하면 부엌이나 욕실의 타일, 건물 등의 선이 물결치듯 굽어 보이는 이상 시각을 경험하게 되며,
더 진행하면 사물의 중심이 까맣게 보이지 않아 글자의 공백이 생기거나 중심 부분이 지워진 듯 보이지 않게 됩니다.
특히 황반변성이 한쪽 눈에 먼저 발병한 경우에는 반대쪽 눈을 사용해 이상을 느끼지 못 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황반변성 우선 치료자
Check01
60대 이상
주로 발병
Check02
하루 2갑 이상
흡연 할 경우 위험도 2배 이상 증가
Check03
남성보다 여성의
발병률이 증가는 추세
Check04
고혈압이 있는 분이
일반인보다 위험도 증가
Check05
항산화제와 루테인 섭취가 부족할 경우 위험도 증가
Check06
한쪽 눈에 황반변성이
있는 경우 반대편
눈도 발병 가능
Check07
가족력 망막변성은
유전적 요인의
영향
bottom of page